블로그 주소창에 자물쇠 아이콘 없으면 좀 찝찝하잖아요?
요즘은 기본이 HTTPS인데, (Blogger)블로그스팟에서도 사용자 도메인으로 연결했으면 SSL은 꼭
챙겨야 해요.
설정법도 진짜 간단하니까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왜 HTTPS(SSL 인증서)가 중요한 걸까요?
‘보안 연결’이란 말 많이 들어보셨죠?
바로 그게
SSL 인증서 덕분에 가능한 건데요, 이건 단순한 기술 설정을
넘어서
방문자 신뢰도, 구글 SEO, 브라우저 경고 회피에까지 영향을 줍니다.
SSL은 Secure Sockets Layer의 약자로, 웹사이트와 방문자 간의 데이터를 암호화해 제3자가 탈취하거나 조작하지 못하도록 보호해주는 보안 프로토콜이에요. 요즘처럼 피싱, 스팸, 개인정보 유출이 많은 환경에서는 필수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게다가 구글은 HTTPS 사이트를 검색엔진 결과에서 우선적으로 노출하는 경향이 있어서, 단순한 보안의 문제가 아니라 트래픽에도 직결돼요.
항목 | 설명 |
---|---|
보안 향상 | 개인정보 유출 방지, 스팸 차단 |
사용자 신뢰도 | 자물쇠 아이콘으로 신뢰 구축 |
SEO 우대 | HTTPS 사이트가 검색 우선 적용됨 |
브라우저 경고 제거 | ‘보안되지 않음’ 경고 회피 가능 |
Blogger, SSL 지원하나요? 자동인가요?
네. Blogger는 사용자 지정 도메인 연결 시 무료로 SSL 인증서를 자동 발급해줘요. 구글이 운영하는 플랫폼인 만큼, Let's Encrypt 같은 공인 인증기관을 통해 인증서를 발급하고 자동 갱신까지 처리해주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자동’이라 해도, 도메인 설정이 꼬이면 제대로 적용이 안 될 수 있어요.
아래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SSL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DNS 설정이 올바르게 완료되어야 함 (특히 CNAME 레코드)
도메인이 Blogger와 완전히 연결되어 있어야 함
-
설정 페이지에서 HTTPS 기능을 수동으로 '예'로 변경해야 함 (기본값은 아닐 수 있음)
가끔 DNS 전파가 완료되기 전에 SSL을 설정하려 하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니, 최소 1~2시간 정도 여유를 두고 설정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블로그스팟(Blogger)에 하위 도메인 추가 꿀팁 총정리
SSL 설정 방법, 진짜 간단하게 끝내기
설정은 진짜 몇 번 클릭이면 됩니다. 복잡하게 생각 안 하셔도 돼요. Blogger는 전체 설정을 시각적으로 구성해놔서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어요.
설정 경로 안내
Blogger 관리자 페이지 접속
-
왼쪽 메뉴 → 설정 클릭
‘게시’ 섹션으로 내려가기
-
HTTPS 사용 여부 → 예로 변경
-
HTTPS 리디렉션 → 예로 변경
주의사항: SSL이 자동으로 적용되는 도중, 일시적으로 블로그 접속이 불안정할 수 있어요. 이건 정상적인 현상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설정 후 반응 확인
설정을 완료한 후, 보통 30분~1시간 이내에 SSL이 적용돼요. 적용되면 블로그 주소창에 자물쇠 아이콘이 생깁니다. 브라우저에 따라 캐시가 남아 있을 수 있으니, 시크릿 모드로 확인하거나 SSL 체크 툴을 활용하는 게 좋아요.
설정 항목 | 추천 값 | 설명 |
HTTPS 사용 | 예 | 무료 SSL 자동 발급 |
HTTPS 리디렉션 | 예 | 모든 접속을 HTTPS로 강제 전환 |
SSL이 적용이 안 될 때 체크리스트
가끔 이 과정을 따라도 자물쇠가 안 생기는 경우가 있어요. 그럴 땐 아래 항목을 꼭 확인해보세요.
-
DNS가 아직 반영되지 않았을 수 있어요 → 최대 24시간 기다리기
-
도메인 연결이 불완전할 수 있어요 → CNAME 및 A 레코드 설정 확인하기
-
HTTPS 설정을 저장 안 했을 수 있어요 → 다시 설정 페이지 가서 ‘예’로 체크했는지 확인
-
브라우저 캐시 문제 → 시크릿 모드 또는 다른 브라우저로 접속해 보기
-
혼합 콘텐츠 오류 → 포스트 내 이미지나 링크에 http://로 된 소스가 있으면 https://로 수정 필요
SSL 제대로 설정됐는지 확인하는 법
정확히 설정됐는지 알고 싶다면 다음 방법으로 검토해보세요.
-
Chrome 브라우저에서 블로그 주소 입력
-
주소창 왼쪽 자물쇠 아이콘 확인 → 클릭해서 인증서 정보 확인 가능
-
-
SSL 체크 사이트 이용
도메인 입력 후 유효성, 암호화 수준, 만료일 등 확인 가능
-
HTTP로 접속 테스트
http:// 로 접속 시 https:// 로 자동 리디렉션 되는지 확인
-
콘솔 오류 확인 (선택 사항)
F12 → 'Console' 탭에서 Mixed Content 오류가 있는지 확인
진짜 후기 4개 모음
"자물쇠 없다고 방문자들이 블로그가 이상하대서 바로 설정했어요. 확실히 깔끔해졌어요!"
— 민지, 뷰티 블로거
"DNS만 제대로 돼 있으면 SSL은 그냥 버튼 두 개 클릭으로 끝나요."
— 승우, 여행 블로거
"처음엔 좀 막혔는데, 시크릿 모드로 확인하니까 적용돼 있었더라고요."
— 주희, 정보 블로거
"HTTPS 리디렉션 설정 안 했더니 광고 수익에 영향이 있더라고요. 무조건 하세요."
— 경민, 애드센스 블로거
자주 묻는 질문
SSL 인증서는 유료인가요?
아니요. Blogger는 Google 플랫폼이라 사용자 지정 도메인에도 무료 SSL을 제공합니다.
설정하고 바로 적용되나요?
보통 1시간 이내 적용되지만, 최대 24시간까지 걸릴 수 있어요. 기다려도 안 되면 설정을 다시 확인하세요.
SSL 적용 안 되면 애드센스에도 문제 생기나요?
네. Google은 HTTPS 연결을 선호하기 때문에 광고 게재에 제한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HTTP로 접속하면 여전히 열린다면요?
HTTPS 리디렉션 설정이 꺼져 있을 수 있어요. 꼭 ‘예’로 설정하세요.
자물쇠는 있는데 빨간 경고가 뜨는 경우는요?
대부분 혼합 콘텐츠 오류입니다. 이미지나 링크가
http://
로 되어 있는 경우 수정이 필요합니다.
마치며
Blogger에서 SSL 인증서 설정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예요.
특히 사용자 지정
도메인을 쓰고 있다면,
무조건 HTTPS로 리디렉션 설정까지 해두는 게 블로그의
신뢰도, 보안, 수익 측면에서 모두 유리합니다.
SSL은 한 번 설정해두면 갱신 없이 자동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보안 유지를 위한
유지보수 걱정도 덜 수 있어요. 몇 번의 클릭만으로도 방문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HTTPS,
지금 바로 설정해두고 블로그 퀄리티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보세요.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