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마드마드
IT, 블로그 노하우 정보를 전합니다!

Blogger에 하위 도메인 추가 꿀팁 총정리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콘텐츠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싶을 때가 있죠? 이럴 때 하위 도메인을 활용하면 효과적입니다. 특히, Blogger에서 하위 도메인을 추가하는 과정은 생각보다 간단하니, 함께 알아보시죠!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콘텐츠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싶을 때가 있죠? 이럴 때 하위 도메인을 활용하면 효과적입니다. 특히, Blogger에서 하위 도메인을 추가하는 과정은 생각보다 간단하니, 함께 알아보시죠!

하위 도메인이 뭔데 이렇게 중요한데?

하위 도메인(Subdomain)은 메인 도메인의 '앞'에 새로운 이름을 붙여, 독립된 사이트처럼 운영할 수 있는 구조를 말해요. 예를 들어 tech.example.com, shop.example.com처럼요.

그냥 하나의 블로그 주소에서 여러 주제를 다루다 보면 관리도 어렵고, 방문자 입장에서도 헷갈릴 수 있어요. 하지만 하위 도메인을 쓰면 어떤 주제를 다루는지 명확하고, SEO 측면에서도 콘텐츠 분산 효과를 줄일 수 있죠.

특히 Google 애드센스를 사용 중이라면, 승인받은 도메인에서 파생된 하위 도메인에도 광고 게재가 가능해서 수익 창출 면에서도 유리합니다.

시작 전에 꼭 준비해야 할 3가지 체크리스트

Blogger에서 하위 도메인을 연결하기 전에 다음 3가지는 꼭 준비해두세요.

항목 이유 준비 방법
승인된 사용자 지정 도메인 Blogger는 기본적으로 blogspot.com 주소를 쓰지만, 하위 도메인은 사용자 지정 도메인에서만 설정할 수 있어요. 도메인 구매 후 Blogger에 연결 필요
DNS 설정 가능한 권한 하위 도메인을 연결하려면 도메인 DNS에 접근해서 레코드 수정이 가능해야 합니다. 도메인 등록업체 로그인 필요
하위 도메인 이름 결정 어떤 주제로 쓸지 먼저 생각하고, 그에 맞는 이름을 정하는 게 좋아요. 예: travel.도메인.com, shop.도메인.com

Blogger 설정부터 DNS 설정까지, 한방에 끝내는 절차

이제 본격적으로 Blogger에 하위 도메인을 추가하는 모든 과정을 2단계로 나눠 설명드릴게요.
한 단계씩 차근히 따라오시면 어렵지 않습니다.

1단계: Blogger에서 하위 도메인 등록

  1. Blogger에 로그인합니다.
  2. 블로그 목록 중 설정할 블로그를 클릭합니다.
  3. 왼쪽 메뉴 > 설정 > 게시 섹션으로 이동하세요.
  4. 사용자 지정 도메인 항목을 클릭한 뒤, 하위도메인.도메인.com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5. 저장 버튼을 누르면 오류 메시지가 뜨는데요, 이는 아직 DNS 설정이 완료되지 않아 발생하는 정상적인 과정입니다.

2단계: 도메인 등록기관에서 DNS 설정

이제 도메인 설정 사이트(호스팅케이알, GoDaddy, 카페24 등)에 로그인해서 DNS를 설정할 차례입니다.

CNAME 레코드 추가

항목
타입 CNAME
호스트 하위 도메인 이름 (예: blog)
ghs.google.com

이 외에도 Blogger에서 제공하는 고유한 값(CNAME 2개)을 복사해서 같이 등록해 주세요.
예: gv-xxxx.dv.googlehosted.com 같은 값이 나올 수 있어요.

A 레코드 설정 (선택적이지만 추천)

호스트 값 (IP 주소)
@ 또는 sub 216.239.32.21, 216.239.34.21, 216.239.36.21, 216.239.38.21

A 레코드는 리디렉션 처리나 HTTP 설정 시 필요할 수 있어요.
단, CNAME과 충돌이 나지 않도록 주의해서 설정해주세요.

연결 확인 및 오류 대처 방법

설정이 끝났다면, DNS가 정상적으로 반영되었는지 확인해보세요.
1~24시간 내로 적용되며, 캐시나 네트워크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 하위 도메인 주소로 접속해봤을 때 블로그가 열리면 성공!
  • 오류가 나올 경우:
    • DNS가 아직 반영되지 않았을 수 있음
    • CNAME 또는 A레코드 설정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 SSL 인증서가 적용 중일 수 있음 → 몇 분~몇 시간 소요

꿀팁: Chrome 시크릿 모드로 접속하면 DNS 캐시 없이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하위 도메인, 이렇게 활용하면 완전 꿀

하위 도메인 활용법은 무궁무진해요.
실제로 많은 블로거들이 이런 방식으로 콘텐츠를 체계화하고 있습니다.

하위 도메인 콘텐츠 활용 예시
review.example.com 제품 리뷰 전용 블로그
travel.example.com 여행 후기 및 꿀팁
dev.example.com 개발자 포트폴리오
en.example.com 영어 버전 블로그 운영

사용자들의 리얼 후기 4선

"기존 블로그 하나에 다 몰아 넣었더니 정신 없었는데, 하위 도메인으로 분리하니까 진짜 깔끔해졌어요."
— 해솔, 취미 블로거

"DNS 처음이라 걱정했는데 Blogger랑 도메인 사이트 왔다 갔다 몇 번 하니까 금방 끝났어요."
— 성우, 기술 블로거

"블로그마다 광고 배치 달리해서 테스트 중인데, 하위 도메인 덕분에 비교도 쉬워졌어요."
— 주연, 애드센스 사용자

"디자인 블로그 따로 빼니까 관심 있는 사람들만 방문해서 체류 시간도 확 늘었어요."
— 미나, 디자이너

자주 묻는 질문

하위 도메인을 추가하면 SEO에 도움이 되나요?

네. 콘텐츠 주제를 분리해 전문성 있게 운영하면 Google이 각각을 독립된 사이트처럼 평가할 수 있어 SEO에 유리합니다.

DNS 설정은 어디서 하나요?

도메인을 구매한 곳(예: 호스팅케이알, GoDaddy 등)에서 DNS 설정 메뉴에 들어가면 가능합니다.

Blogger에서 하위 도메인을 삭제할 수도 있나요?

물론입니다. 설정 > 게시 메뉴에서 해당 도메인을 제거하고 DNS 설정에서도 삭제하시면 됩니다.

하위 도메인에도 광고가 나올까요?

기존 도메인이 애드센스 승인을 받았다면, 하위 도메인에서도 별도 승인 없이 광고가 게재됩니다.

하위 도메인과 서브디렉토리 차이는 뭔가요?

하위 도메인(sub.example.com)은 메인 도메인과 별도로 운영되는 구조이고, 서브디렉토리(example.com/sub)는 같은 도메인 내 경로만 분리하는 방식입니다.

마치며

Blogger에서 하위 도메인을 추가하는 일은 단순히 주소를 하나 더 만드는 게 아니에요.
콘텐츠의 주제 분류, 전문성 강화, SEO 전략, 그리고 사용자 경험 향상까지 연결되는 굉장히 전략적인 작업입니다.

조금만 익히면 누구나 할 수 있고,
한번 세팅해두면 운영이 훨씬 편해지는 이 구조, 지금 바로 활용해보세요!

댓글 쓰기

소중한 댓글 감사합니다.